구원파 박옥수의 지하철 광고

2011.10.19 17:42

김반석 조회 수: 추천:

■ 구원파 박옥수의 지하철 광고
선지자선교회
서울 지하철을 타면 전철 안에 구원파 박옥수의 광고가 눈에 띤다.  
아래는 그 광고문 중에 일부를 발췌하였다.

『목사님은 모든 불행의 원인이 죄라는 사실과 우리를 사랑하시는 예수님께서 죄와 인생의 모든 문제를 다 해결해주셨다는 복음을 전해주셨다. 말씀을 들으면서 내 삶의 모든 의문이 풀어지고 복음이 믿어졌다. 나는 그날 죄 사함 받고 거듭났다.』

이 광고문을 얼른 보면 이단성이 없어 보인다.
그러나 자세히 읽어보면 이단성이 있다.

이 글에서 이단성이 있는 표현은 무엇인가?
또 어떻게 하면 이단성이 없는 표현이 될 수 있는가?

이단성이 있는 표현은 ‘나는 그날 죄 사함 받고 거듭났다.’ 하는 표현이다. 이단성이 없는 표현이 되려면 ‘나는 그날 죄 사함 받고 거듭난 것을 깨달았다.’고 표현을 해야 한다.

(엡1:7)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은혜의 풍성함을 따라 그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 사함을 받았으니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죄 사함 받고 구원 받았다. 구원파 박옥수가 말하듯이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구원 받은 것을 깨달은 그 날 그 시간에 죄 사함 받고 구원 받은 것 아니다.

(고전9:16) 내가 복음을 전할지라도 자랑할 것이 없음은 내가 부득불 할 일임이라 만일 복음을 전하지 아니하면 내게 화가 있을 것임이로라

사도 바울은 말하기를 ‘내가 복음을 전할지라도 자랑할 것이 없음은 내가 부득불 할 일임이라’고 했다. 이 말씀을 근거하면 박옥수는 다만 복음을 전했을 뿐이다. 그런데 박옥수는 복음을 전해서 깨달으면 그날 그 시간에 죄 사함을 받고 거듭났다고 말한다. 이런 주장이 이단성이라는 것이다.

(벧후2:1) 그러나 민간에 또한 거짓 선지자들이 일어났었나니 이와 같이 너희 중에도 거짓 선생들이 있으리라 저희는 멸망케 할 이단을 가만히 끌어들여 자기들을 사신 주를 부인하고 임박한 멸망을 스스로 취하는 자들이라

이단은 자기들을 사신 주를 부인하는 것이 이단이라 하셨다.
구원파의 박옥수는 복음을 전할 때 깨달으면 죄 사함 받고 거듭난다고 말한다.
성경은 주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 사함 받았다고 말씀한다.

그러므로 박옥수는 자기들을 사신 주의 피를 직접 부인하는 것은 아니나 간접적으로 주의 피를 부인하기 때문에 이단성이 있다는 것이다.

주의 피로 죄 사함 받는 것인데 반하여, 박옥수는 깨달음으로 죄 사함을 받는 것을 말하는 것은, 죄 사함을 주의 피에 근거하지 않고 인간의 깨달음에 기인하는 것이 되므로 결국은 주의 피를 부인하는 것이 된다. 주의 피를 부인하면 이단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4.06.29-3922 김반석 2024.03.30
공지 신앙 표어와 목회 표어 김반석 2024.03.30
공지 나는 독립으로/무언의 용사로/주님만모시고/어디까지든지 [1] 김반석 2022.12.14
공지 김반석의 표어적 성구 [1] 김반석 2018.12.02
공지 김반석의 묵상 선지자 2014.08.15
3922 싸움의 두 종류 김반석 2024.06.29
3921 배척받는 원리와 환대하는 원리 김반석 2024.06.29
3920 신천지의 길거리 활동을 배격하다 김반석 2024.06.29
3919 그의 열매로 그들을 알리라 김반석 2024.06.28
3918 하물며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서 구하는 자에게 김반석 2024.06.27
3917 목회자의 안팎 김반석 2024.06.26
3916 잘난 사람 · 똑똑한 사람 김반석 2024.06.26
3915 이단의 거짓말과 참람된 말 김반석 2024.06.25
3914 구원론에서 발명과 발전 김반석 2024.06.25
3913 똑똑한 자, 좋은 자, 나쁜 자 김반석 2024.06.24
3912 주의 종은 무익한 종 김반석 2024.06.23
3911 부피와 가치는 다른 것이다 김반석 2024.06.23
3910 백영희의 신앙노선 분별법 김반석 2024.06.20
3909 신앙은 실체, 순진은 그림자 김반석 2024.06.19
3908 세상 복과 천국 복 김반석 2024.06.19
3907 변호사와 의사와 목사의 본분 김반석 2024.06.14
3906 관심과 감시 김반석 2024.06.14
3905 장성한 신앙과 어린 신앙과 불신앙 김반석 2024.06.13
3904 다 같이 아는 것 같으나 김반석 2024.06.13
3903 낚시와 전도지 김반석 2024.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