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4 00:59
■ 총공회(고려보수) 찬송가
우리 진영 총공회(고려보수)는 1987년도에 우리 진영 별도로 찬송가를 편찬하였다.
찬송가 서문에는 다음의 □ 안에 글과 같이 우리 진영이 별도로 찬송가를 편찬하는 취지를 밝혔다.
찬송가 서문 우리 믿는 성도에게 성경 다음으로 중요한 찬송가가 출판될 때마다 소원과는 달리 계속 변경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책은 신편, 합동, 새찬송, 개편, 통일찬송가 등으로 복잡하게 되어 있다. 그 중에는 이미 우리 입에 익은 좋은 가사들의 변경으로 생소함과 혼잡, 또 신조와 교리상 맞지 않는 것 등이 있어 총공회 소속 교회와 교우들의 분분한 말들과 예배시 많은 불편을 겪어왔다. 이런 가운데 이제까지 우리가 늘 불러오던 찬송 중 성경에 맞고 가까운 가사의 곡과 우리의 현실 생활에서 은혜가 되고 신앙에 도움이 되는 찬송들을 각 찬송가에서 뽑아 예배 찬송으로 부르기로 하는 것이 편리하겠다고 전 교회와 교인들이 원하여 왔다. 이래서 이후 단일의 완전한 찬송가가 나올 때까지 예배의 편의를 위해 임시본을 비매품으로 발간하되 그 비용은 독지가들의 찬조금으로 하고 각 교회에 나누어 자기 교인에게만 무료로 주어 사용하기로 한 책임을 알려 드리는 바이다. 주후 1987년 4월 예수교장로회 한국총공회 찬송가 편찬위원회 일동 |
우리 진영 총공회(고려보수)가 1987년도에 편찬한 찬송가는 총 201곡이다.
201곡은 대체로 성경에 맞고 가까운 가사로서 은혜 중심의 찬송가이다. 그러니까 신편, 합동, 새찬송가 등에서 예배 찬송으로 선별한 것이다.
우리 진영이 별도의 찬송가를 편찬하기 전까지 사용했던 찬송가는 1962년도에 출간된 ‘새찬송가’이다.
한국교회의 찬송가 역사를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찬양가 (117장) - 1893년 / 장로교
- 찬송시 - 1895년 / 북장로교
- 찬미가 - 1897년 / 감리교
- 찬송가 - 1918년 / 장로교·감리교 연합
- 복음찬미 - 1900년 / 침례고
- 복음가 - 1911년 / 성결교
- 신정찬송가 - 1931년 / 예수교 연합공의회
- 신편찬송가 - (400장) 1935년 / 장로교
- 합동찬송가 - 1948년 / 장로교·감리교·성결교
- 새찬송가 - 1962년 / 장로교 일부 (고신, 합동, 총공회 등)
- 개편찬송가 - (620장) 1967년 / 합동찬송가 측
- 통일찬송가 - 1983년 / 한국찬송가공회
- 21세기찬송가 - 2006년 / 한국찬송가공회
참고: 찬송가 제목으로는 무슨 찬송가인지 구별하기 어렵다. 그렇기에 찬송가 서문에 출간 연도를 보면 어떤 찬송가인지를 간단히 분별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과일은 상품의 정도가 ‘특, 상, 중, 하’로 구분한다. 우리 진영 찬송가 201곡은 대체로 ‘특과 상’이다. ‘중과 하’는 없다. 우리 진영 편찬위원 목사님들이 신중히 찬송가를 선별해서 가사도 변개된 곳은 본래대로 수정하였다. 그리고 백영희목사님이 은혜면이나 교리면을 감수(監修) 하였다.
우리 진영 찬송가에 대하여 다른 진영에서 오시는 교인들은 생소하게 여길 수 있다. 그럴 때에 안내는 우리 진영 찬송가는 교계의 찬송가가 속화 변질되어 가고 있기에 교계의 새찬송가 등에서 은혜 있는 찬송가를 선별하고 가사도 본래대로 수정한 것을 인식시키는 갓이다. 찬송가를 대조하면 금방 확인 될 것 아닌가.
- 2025. 02. 13∥목사 김반석
- 선지자문서선교회∥http://www.seonjij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