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지에 대하여 (교회론)

2024.05.19 15:16

김반석 조회 수:


선지자선교회

전도지에 대하여 (교회론)

 

다음의 안에 내용은 기독교의 전도지로 보일까?

다음의 안에 내용은 유대교의 전도지로 보일까?

 

 

살롬

 

이 가정에 축복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행복하시기를 축복합니다.

건강하시기를 축복합니다.

물질의 복이 있기를 축복합니다.

관계의 복이 있기를 축복합니다.

사랑이 넘치는 가정이 되기를 축복합니다.

 

여호와는 네게 복을 주시고 너를 지키시기를 원하며 *여호와는 그 얼굴로 네게 비취사 은혜 베푸시기를 원하며 *여호와는 그 얼굴을 네게로 향하여 드사 평강 주시기를 원하노라 할지니라 하라(민수기624~26)

 

 

요사이는 교회가 노방(路傍) 전도를 하면서 전도지에 과자나 사탕을 몇 개 붙여서 주는 경우를 종종 본다.

 

위의 안에 내용은 어느 교회의 전도지에 붙은 과자 비닐 포장에 스티커이다.

 

위의 안에 내용에서 성구만 빼면 기독교의 전도지 내용은 전혀 아니다. 불신자들도 할 수 있는 말이고, 이종교에서도 할 수 있는 말이다.

 

그리고 위의 안에 내용에서 성구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말씀이 아니고, 여호와에 대한 말씀이다. 유대교는 예수 그리스도를 부인하고 여호와를 믿는다. 그러면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1:3)를 믿는 것이 아니므로 기독교의 하나님이 아니다. 그런데 내용 또한 불신자들도 할 수 있는 말이고, 이종교에서도 할 수 있는 말이다. 그렇다면 안에 내용만 보면 기독교의 전도지 보다는 유대교의 전도지 같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기독교의 전도지에 들어갈 내용의 근거 성구가 되는 대표적 성구는 대략 다음과 같다.

 

(3:16)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

 

(4:12) 다른 이로서는 구원을 얻을 수 없나니 천하 인간에 구원을 얻을 만한 다른 이름을 우리에게 주신 일이 없음이니라 하였더라

 

(13:38-39) 그러므로 형제들아 너희가 알 것은 이 사람을 힘입어 죄 사함을 너희에게 전하는 이것이며 *또 모세의 율법으로 너희가 의롭다 하심을 얻지 못하던 모든 일에도 이 사람을 힘입어 믿는 자마다 의롭다 하심을 얻는 이것이라

 

(1:3-14) 찬송하리로다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하늘에 속한 모든 신령한 복으로 우리에게 복 주시되 *창세 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택하사 우리로 사랑 안에서 그 앞에 거룩하고 흠이 없게 하시려고 *그 기쁘신 뜻대로 우리를 예정하사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자기의 아들들이 되게 하셨으니 *이는 그의 사랑하시는 자 안에서 우리에게 거저 주시는 바 그의 은혜의 영광을 찬미하게 하려는 것이라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은혜의 풍성함을 따라 그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 사함을 받았으니 *이는 그가 모든 지혜와 총명으로 우리에게 넘치게 하사 *그 뜻의 비밀을 우리에게 알리셨으니 곧 그 기쁘심을 따라 그리스도 안에서 때가 찬 경륜을 위하여 예정하신 것이니 *하늘에 있는 것이나 땅에 있는 것이 다 그리스도 안에서 통일되게 하려 하심이라 *모든 일을 그 마음의 원대로 역사하시는 자의 뜻을 따라 우리가 예정을 입어 그 안에서 기업이 되었으니 *이는 그리스도 안에서 전부터 바라던 우리로 그의 영광의 찬송이 되게 하려 하심이라 *그 안에서 너희도 진리의 말씀 곧 너희의 구원의 복음을 듣고 그 안에서 또한 믿어 약속의 성령으로 인치심을 받았으니 *이는 우리의 기업에 보증이 되사 그 얻으신 것을 구속하시고 그의 영광을 찬미하게 하려 하심이라

 

그러므로 기독교의 전도지에 들어갈 내용에는 반드시 다음의 내용이 있어야 한다.

 

-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죄 사함을 받습니다.

-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심을 얻습니다.

-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습니다.

 

(안내)

 

이 글은 반석묵상에 게재할 용도로 시작하였다가 교리문답용도로 변경하였다. 그런 것은 이 글은 조직신학에서 교회론에 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계의 조직신학에서 교회론에는 교회 자체만 조명하고 있다. 이 글은 교회가 할 일을 조명하는 것이다.

 

- 2024. 05. 19목사 김반석

- 선지자문서선교회http://www.seonjija.ne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4.06.26-1716 김반석 2024.01.21
공지 조직신학 정리에 대하여 (서론) 김반석 2024.01.21
공지 성경의 기본교리 곧 구원의 기본교리 [1] 김반석 2022.05.07
1696 믿음 충만과 성령 충만 김반석 2024.06.06
1695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함’에 대한 적용 김반석 2024.06.05
1694 이단은 무엇인가 (이단론) 김반석 2024.05.29
1693 의에 대한 분석 김반석 2024.05.28
1692 성령을 하나님께 선물로 받는 방법 김반석 2024.05.26
1691 신자의 의식주 (교회론) 김반석 2024.05.25
1690 병든 자에게 믿음의 기도 (교회론) 김반석 2024.05.25
» 전도지에 대하여 (교회론) 김반석 2024.05.19
1688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 (사람론) 김반석 2024.05.14
1687 은혜와 믿음 (구원론) 김반석 2024.05.13
1686 믿음이 무엇인가 (교회론) 김반석 2024.05.13
1685 예수 믿는 1차, 2차 3차 신앙 (교회론) 김반석 2024.05.12
1684 옛 사람과 새 사람 (사람론) 김반석 2024.05.11
1683 영감 설교 (교회론) 김반석 2024.05.11
1682 영감 목회 (교회론) 김반석 2024.05.11
1681 이단 규정 (이단론) 김반석 2024.05.08
1680 복음의 핵심은 ‘죄 사함과 의롭다 함’ 김반석 2024.05.06
1679 성경은 구원의 진리 (성경론) 김반석 2024.05.02
1678 성경은 진리의 말씀 곧 구원의 복음 (성경론) 김반석 2024.05.02
1677 교회가 다 있는데 사랑이 없다 (교회론) 김반석 2024.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