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람을 힘입어 죄 사함 ː 이 사람을 힘입어 믿는 자마다 의롭다 하심

 

본문: (13:38-39) 그러므로 형제들아 너희가 알 것은 이 사람을 힘입어 죄 사함을 너희에게 전하는 이것이며 *또 모세의 율법으로 너희가 의롭다 하심을 얻지 못하던 모든 일에도 이 사람을 힘입어 믿는 자마다 의롭다 하심을 얻는 이것이라

 

(서론)

 

이 사람을 힘입어 죄 사함을 너희에게 전하는 이것이며, 이 사람을 힘입어 믿는 자마다 의롭다 하심을 얻는 이것이라하셨다.

 

이 사람은 무엇인가?

 

(1:14)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하셨다. 그러므로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신 예수 그리스도가 이 사람이다.

 

(2:5-8) 너희 안에 이 마음을 품으라 곧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이니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오히려 자기를 비어 종의 형체를 가져 사람들과 같이 되었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셨으매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오히려 자기를 비어 종의 형체를 가져 사람들과 같이 되었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셨으매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하셨다. 그러므로 그리스도 예수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오히려 자기를 비어 종의 형체를 가져 사람들과 같이 되었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셨으매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 곧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신 이 사람이다.

 

그러면 이 사람을 힘입어 죄 사함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 사람을 힘입어 믿는 자마다 의롭다 하심은 무엇인가?

 

이 글에서 조명하려는 핵심은 은혜와 믿음에 대한 것이다.

 

우리들이 은혜와 믿음에 대한 오해가 크다. 그리하여 이 사람(예수 그리스도)을 힘입어 죄 사함을 받음을 믿는 것을 믿음이라 여기고, 막상 이 사람(예수 그리스도)을 힘입어 믿는 자마다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이 믿음인데 도리어 믿음을 상실(喪失)하고 있다. 그래서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죄 사함을 받은 것만 보유(保有)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함을 얻는 것은 상실하고 있다.

 

그렇기에 이 사람(예수 그리스도)을 힘입어 죄 사함을 받은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영원한 속죄를 단번에 받았기에 우리가 더 이상 죄 사함을 받을 이유가 없다.

 

그러나 이 사람(예수 그리스도)을 힘입어 믿는 자마다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죄 사함의 구속을 힘입어 믿음 곧 새 사람으로 죄 짓지 아니하는 자로 살고, 하나님의 뜻대로 하나님께 순종하는 자로 살고, 영의 생각으로 하나님과 화목하는 자로 사는 자에게 하나님의 성령 곧 보혜사의 임하심과 주의 성령의 임하심이다. 그리하여 벧후1:1보배로운 믿음이라 하셨다. 그러므로 우리가 더욱 믿음에 힘써야 한다.

 

그래서 약2:14-26이 사람(예수 그리스도)을 힘입어 죄 사함을 받은 것만 믿는 것에 대하여 행함이 없는 죽은 믿음하셨다. 그리고 이 사람(예수 그리스도)을 힘입어 믿는 자마다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에 대하여 행함으로 의롭다 하심이라 하셨다. 즉 행함이 있는 산 믿음이다.


선지자선교회


- 본 자료에 대한 전문은 홈폐이지> 연구> 성경연구>에 게재하였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4.06.26-5038 김반석 2024.03.04
공지 ‘최근 글’의 수와 게시판 전체의 글의 수가 일치 되지 않는 까닭 김반석 2022.10.05
공지 ‘최근 글'에 대한 안내 선지자 2014.05.08
3778 성령과 물과 피, 이 셋이 합하여 하나이니라(요일5:5-8) 김반석 2023.05.01
3777 선교사역보고 (2023년 4월) 선지자 2023.04.30
3776 사랑의 두 종류와 사랑의 두 부류 김반석 2023.04.30
3775 의와 인과 신 ː 성령과 물과 피 김반석 2023.04.29
3774 아는 것과 행하는 것 김반석 2023.04.29
3773 의사의 진료와 목사의 목양 김반석 2023.04.29
3772 유물주의 의사와 세속주의 목사 김반석 2023.04.29
3771 십일조와 의와 인과 신(마23:23) 김반석 2023.04.28
3770 목숨과 영생하는 생명 김반석 2023.04.28
3769 고난이 오고 망하는 이유 중에 하나 김반석 2023.04.28
3768 십일조의 2가지 성격 김반석 2023.04.27
3767 목회자의 정치참여와 사회운동은 금지 김반석 2023.04.27
3766 이종교는 율법의 의 ː 기독교는 믿음의 의 김반석 2023.04.26
3765 목회자와 교인이 같은 상급을 받을 수 있는 방편 김반석 2023.04.26
3764 율법이 무엇인가 ː 복음이 무엇인가 김반석 2023.04.25
3763 목회자의 장성과 교인의 장성 김반석 2023.04.25
3762 목회자의 이중직은 비성경적 성경근거 김반석 2023.04.24
3761 성경을 안다는 것과 성경을 모른다는 것 김반석 2023.04.24
3760 주님의 십자가의 구속의 은혜에 감사와 감격의 표현 김반석 2023.04.23
3759 교회와 교회의 부흥 김반석 2023.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