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인과 견집

2022.02.23 17:51

김반석 조회 수:

견인과 견집

 

- 견인(牽引): 끌어당김

- 견집(堅執): 꽉 잡고 있음

 

위는 한글사전에서 뜻풀이다.

 

개혁주의 조직신학에서 견인은 구원론의 항목 중에 하나이다. 그리하여 견인은 하나님이 우리를 구원을 위하여 끝까지 이끄심을 표현한 교리용어이다.

 

그리고 견집은 하나님의 견인에 대하여 우리가 붙들고 놓치지 아니하는 믿음을 표현한 용어로써 부족한 종이 정해본 것이다.

 

1. 견인

 

하나님은 창세 전부터와 지금과 영원까지 우리를 견인하는 역사를 하신다.

 

하나님은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28:18-20)으로써 삼위의 하나님이시며 또한 일체의 하나님이시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견인역사는 크게 다음의 3가지이다.

 

1) ‘하나님의 택함과 예정(1:3-6)’은 아버지가 하신 역사이다.

 

2)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 사함(1:7-12)’은 아들이 하신 역사이다.

 

3) ‘진리의 말씀 곧 구원의 복음을 듣고 그 안에서 또한 믿는 자에게 약속의 성령으로 인치심(1:13-14)’은 성령이 하시는 역사이다.

 

2. 견집

 

우리는 이 세상에 사는 동안에 삼위 하나님의 견인역사를 믿음으로 견집한다.

 

예수 믿는 우리의 견집은 곧 예수 그리스도의 죄 사함 곧 구속을 힘입어 다음의 3가지로 사는 것이다.

 

1) 새 사람으로(3:10) 죄 짓지 아니하는 자로 사는 것이다.

 

2) 하나님의 뜻대로(6:40) 하나님께 순종하는 자로 사는 것이다.

 

3) 영의 생각으로(8:6) 하나님과 화목(동행)하는 자로 사는 것이다.

 

(결론)

 

견인은 삼위 하나님이 역사 하시는 것이다.

견집은 예수 믿는 우리가 힘쓰는 것이다.

 

개혁주의 조직신학에서 하나님의 견인에 대해서는 자세히 논설하지만, 예수 믿는 우리의 견집에 대한 논설은 누락되어 있다.

 

삼위 하나님의 견인역사를 우리가 믿음으로 견집할 때에 보혜사 성령이 임하시고(14:16, 14:26, 15:26), 주의 성령이 임하신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에게 보혜사 성령의 임하심과 주의 성령의 임하심은 곧 믿는 우리에게 베푸신 능력의 지극히 크심으로써 그 능력이 그리스도 안에서 역사하사 죽은 자들 가운데서 다시 살리시고 하늘에서 자기의 오른편에 앉히사 *모든 정사와 권세와 능력과 주관하는 자와 이 세상뿐 아니라 오는 세상에 일컫는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나게 하시고 *또 만물을 그 발 아래 복종하게 하시고 그를 만물 위에 교회의 머리로 주셨다(1:19~22).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에게 보혜사 성령의 임하심과 주의 성령의 임하심이 곧 예수 믿는 우리의 의이며(2:16), 성화이며(4:13), 평강이며(20:19-23), 영생과 생명이며(요일5:10-11), 상급이며(고전3:14), 영광이며(의의 면류관<딤후4:7-8>, 생명의 면류관<1:12>, 영광의 면류관<벧전5::3-4>)이며, 그리고 부활의 능력(8:16)이다.


선지자선교회

- 2022. 02. 23김반석목사선지자문서선교회http://www.seonjij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