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혜와 이신칭의

2021.02.22 00:42

김반석 조회 수:

은혜와 이신칭의

  선지자선교회

(서론)

 

개혁신학 신학용어사전에는 은혜와 이신칭의에 대한 설명이 간략히 되어 있다. 부족한 종은 은혜와 이신칭의에 대하여 개혁신학 용어사전에서의 설명은 슬쩍 눈으로 확인만 하였다. 그런 까닭은 성경에서 말씀하는 은혜는 무엇이며, 그리고 교리용어 이신칭의는 성경에서 무엇인지를 성경에서 그 답을 찾으려는 것이다.

 

그러면 은혜와 이신칭의라는 관계에서 은혜는 성경에서 무엇을 말씀하는가?

그리고 은혜와 이신칭의라는 관계에서 이신칭의는 성경에서 무엇을 말씀하는가?

 

다음의 딛3:7은 은혜와 이신칭의를 말씀하는 대표적 성구이다.

 

(3:7) 우리로 저의 은혜를 힘입어 의롭다 하심을 얻어 영생의 소망을 따라 후사가 되게 하려 하심이라

 

저의 은혜는 은혜이다.

 

우리로 저의 은혜를 힘입어 의롭다 하심을 얻어는 이신칭의이다.

 

참고: ‘이신칭의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칭함을 받다이다. 그렇기에 은혜와 이신칭의라는 관계에서 바른 표현은 이신득의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함을 얻다(2:16 )’이다.

 

안내: 구원론에서 기본적 진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 사함(1:7)곧 중생의 씻음(3:5)과 그리고 그 안에서 또한 믿어 약속의 성령으로 인치심(1:13) 곧 성령의 새롭게 하심이다. 그렇기에 성경에서 구원론이 내포되는 성구는 구원론의 기본적 진리가 따른다. 왜 이런 안내를 하는가 하면 부족한 종의 성경해석을 보면 언제나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 사함(1:7)과 그리고 그 안에서 또한 믿어 약속의 성령으로 인치심(1:13)을 적용하기 때문이다. 성경의 진리의 말씀 곧 구원의 복음에는 구원론의 기본적 진리가 꼭 내포되어 있다.

  

- 본 자료에 대한 전문(全文)은 연구> 교리문답>에 게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