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도문 해석

2020.02.04 23:29

김반석 조회 수:

주기도문 해석

  선지자선교회

2020. 2. 4 1차 원고

선지자문서선교회 김반석 e0691@hanmail.net

 

(6:9-13) 그러므로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나라이 임하옵시며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오늘날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옵시고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옵시고 다만 악에서 구하옵소서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아버지께 영원히 있사옵나이다 아멘)

 

(서론)

 

본문 마6:9-13 말씀은 주님께서 우리에게 이렇게 기도하라는 즉 주기도문이다. 이 주기도문에서 우리에게 주시는 구원도리는 다음과 같이 12가지이다.

 

그러므로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나라이 임하옵시며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오늘날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옵시고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옵시고

다만 악에서 구하옵소서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아버지께 영원히 있사옵나이다

아멘

 

부족한 종은 그동안 주기도문 해석을 성경을 근거해서 두세 차례 하였다. 성경을 근거한다는 것은 해석할 성구에 대하여 해석해주는 성구를 성경에서 찾아 제시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을 최소한 첨부하는 것이다.

 

이렇게 주기도문 해석을 할 당시에는 이전보다 정확하고 명확하게 해석한 것같이 보인다. 그렇지만 명쾌한 해석에서 부족하다 싶으면 계속 연구숙제로 둔다.

 

이번에 주기도문에서 이전보다 해석해주는 성구가 정확하게 보여서 이번에 또 한 번 주기도문에서 주시는 구원도리에 대해 해석해주는 성구를 성경에서 찾아 제시하려는 것이다. 해석해주는 성구는 해당성구도 있고 관련성구도 있는데 성경에서 해당성구를 정확히 찾는 것이 곧바로 명확한 해석이 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해석해주는 해당성구만 성경에서 찾아 제시하고 부족한 종의 설명은 아주 간단히 첨부하였다. 시간이 되면 해석해주는 해당성구에 대한 설명을 첨부할 예정이다.

 

 

- 본 자료에 대한 전문은 홈페이지> 연구> 성경연구>에 게재하였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4.06.29-5045 김반석 2024.03.04
공지 ‘최근 글’의 수와 게시판 전체의 글의 수가 일치 되지 않는 까닭 김반석 2022.10.05
공지 ‘최근 글'에 대한 안내 선지자 2014.05.08
1385 믿음의 두 종류 김반석 2023.03.16
1384 목사의 정치 참여와 관심 김반석 2023.03.17
1383 은혜와 믿음 김반석 2023.03.17
1382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마16:24 김반석 2023.03.17
1381 진정한 목회 김반석 2023.03.18
1380 ‘구원론’ 문제지 김반석 2023.03.18
1379 제일 난제는 자기 부인 김반석 2023.03.18
1378 이 사람을 힘입어 죄 사함 ː 이 사람을 힘입어 믿는 자마다 의롭다 하심 김반석 2023.03.19
1377 목사는 기도하는 것과 말씀 전하는 것을 전무하는 직책 김반석 2023.03.20
1376 죄 사함=은혜 ː 의롭다 하심=믿음 김반석 2023.03.21
1375 죄 사함=기본구원 ː 의롭다 하심=건설구원 김반석 2023.03.21
1374 복음성가 ː 찬송가 김반석 2023.03.21
1373 구원에 대한 3가지 김반석 2023.03.22
1372 하나님의 사랑과 긍휼과 자비와 은혜 김반석 2023.03.22
1371 돈 버는 것 ː 돈 쓰는 것 김반석 2023.03.22
1370 목사 임직 겸 취임식 순서에 성구 김반석 2023.03.23
1369 기타 드럼의 앰프 찬양과 복음성가 김반석 2023.03.23
1368 여호와증인의 ‘예수 그리스도와 성령’에 대한 비성경적 이단설 김반석 2023.03.24
1367 목사의 연령(年齡)에서 김반석 2023.03.24
1366 십일조에 대한 두 개념 김반석 2023.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