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연구 정리방식

2017.12.24 16:31

김반석 조회 수:

성경연구 정리방식

  선지자선교회

(서론)

 

성경연구에서 정리방식은 크게 둘이라 생각한다. 하나는 성구를 앞세우고 해설은 뒤세우는 방식이며, 또 하나는 해설을 앞세우고 성구는 뒤세우는 방식이다.

 

부족한 종이 성경연구에서 정리하는 방식은 성구를 앞세우고 해설은 뒤세우는 방식이다. 그래서 목회자들이나 교인들로부터 보기 편리하도록 해설을 앞세우고 성구는 뒤세우는 방식을 건의 받기도 한다. 그리하여 앞으로 이러한 건의를 받을 때를 대비해서 부족한 종의 견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해본다.

 

(본론)

 

1. 성경연구 정리방식의 두 가지 예

 

1) 성구를 앞세우고 해설은 뒤세우는 방식

 

(1:7)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은혜의 풍성함을 따라 그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 사함을 받았으니

 

우리가 하나님의 은혜의 풍성함을 따라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 사함을 받았다.

 

(1:13) 그 안에서 너희도 진리의 말씀 곧 너희의 구원의 복음을 듣고 그 안에서 또한 믿어 약속의 성령으로 인치심을 받았으니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 사함을 받은 우리가(1:7) 그 안에서 진리의 말씀 곧 구원의 복음을 듣고 그 안에서 또한 믿어 약속의 성령으로 인치심을 받았다.

 

이것은 성구를 앞세우고 해설은 뒤세우는 방식이다.

 

2) 해설을 앞세우고 성구는 뒤세우는 방식

 

우리가 하나님의 은혜의 풍성함을 따라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 사함을 받은(1:7) 그 안에서 진리의 말씀 곧 구원의 복음을 듣고 그 안에서 또한 믿어 약속의 성령으로 인치심(1:13)을 받았다.

 

이것은 해설을 앞세우고 성구는 뒤세우는 방식이다. 즉 해설을 하고 성구장절만 표시하는 방식이다.

 

2. 성경연구 정리방식의 두 가지 각각 장점

 

1) 성구를 앞세우고 해설은 뒤세우는 방식

 

성구를 앞세우고 해설은 뒤세우는 방식은, 해석한 것이 전적 성경을 근거하여 성경이 말씀하는 대로 해석한 것을 확연히 확인시켜준다.

 

이것은 교리연구를 하는 목회자들에게 적당한 방식이라 생각된다.

 

2) 해설을 앞세우고 성구는 뒤세우는 방식

 

해설을 앞세우고 성구를 뒤세우는 방식은, 성구와 해설에서 중복되는 것이 없어서 보는데 복잡하지 않고 편리하다.

 

이것은 교리공부를 하는 교인들에게 적당한 방식이라 생각된다.

 

(결론)

 

부족한 종은 위에서 언급한 성경연구 정리방식 두 가지에서 성구를 앞세우고 해설은 뒤세우는 방식을 주로 채택하고 있다. 그 까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경은 성경이 해석해주고 있는 사실을 증거 하기 위함이다.

 

둘째, 보다 정확하고 보다 명확한 교리정립이기 때문에 성구를 앞세워서 근거하고 해설은 뒤세워서 설명하는 방식을 취하지 않을 수 없다.

 

셋째, 오늘의 신학은 대체로 주제와 질문은 성경에 의한 것이지만 그에 따른 논설과 답변은 거의 인간 깨달음에 의한다. 초기 개혁주의자들이 제정한 웨스터민스트 신앙고백을 보면 인간 깨달음을 근거한 학문적 논설이 아니고 성경을 근거한 진리적 교리이다. 그렇기에 그 때와 지금을 비교하면 성경연구 정리방식에 있어서도 속화이다. 그렇기에 회복하려면 성구를 앞세우고 해설은 뒤세우는 방식을 취해야 된다.

 

넷째, ‘성구를 앞세우고 해설은 뒤세우는 방식을 기본방식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서 즉 교인들 교리공부에서 보기 편리하도록 해설을 앞세우고 성구는 뒤세우는 방식도 필요하다 싶다. 그렇지만 이것은 교리공부 초보단계를 위한 방편이며 점차 수준을 높여 성구를 앞세우고 해설은 뒤세우는 방식에 이르도록 양육해야 된다. 그렇기에 해설을 앞세우고 성구는 뒤세우는 방식을 경계하고, ‘성구를 앞세우고 해설은 뒤세우는 방식을 향해야 한다.

 

다섯째, 부족한 종이 그동안 조직신학을 세 종류 정리하였었다. 그러면서 느끼는 것은 교리에 대하여 가장 정확하고 가장 명확한 설명은 성구 자체였다. 아무리 영안이 밝은 주의 종이라 할지라도 교리를 정립하면서 성구에 대한 해설을 붙이면 그만큼 진리적 도리가 가감되는 것을 보게 된다. 그렇다고 해설을 하지 않으면 이해하고 깨닫지 못하기 때문에 부득이 해설을 한다. 그래서 부족한 종은 해석할 성구에 대하여 해석해주는 성구만 첨부하는 것이 교리정립에 가장 좋은 기본방식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면서 성구가 말씀하는 진리적 도리의 범위 안에서 해설을 최소한 첨부하는 방식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2017. 12. 24 선지자문서선교회 김반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4.06.17-2570 김반석 2024.01.21
공지 조직신학 정리에 대하여 (서론) 김반석 2024.01.21
공지 성막 공부 (서론편, 구조편, 기구편, 재료편, 건축편, 공과편) 김반석 2013.01.26
공지 성경연구에 대한 세 가지 김반석 2023.10.12
공지 성경의 기본교리 곧 구원의 기본교리 [1] 김반석 2022.05.07
공지 홈페이지 자료 복사를 막은 이유 [1] 김반석 2016.03.04
» 성경연구 정리방식 김반석 2017.12.24
1050 계22:1-2의 ‘생명수의 강과 생명나무’ 연구 김반석 2016.05.29
1049 엡1:13-14의 ‘약속의 성령으로 인치심을 받았으니’ 연구 김반석 2016.05.27
1048 마11:28의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연구 김반석 2016.05.25
1047 요8:10-11의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아니하노니 가서 다시는 죄를 범치 말라’ 연구 김반석 2016.05.24
1046 이기는 자들 김반석 2016.05.23
1045 계17:14의 ‘진실한 자들은 이기리로다’ 연구 - 2016.5.23 수정보완 김반석 2016.05.22
1044 요일4:16의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연구 김반석 2016.05.22
1043 롬6:23의 ‘사망과 영생’ 연구 김반석 2016.05.22
1042 창2:7의 ‘생기를 그 코에 불어넣으시니 사람이 생령이 된지라’ 연구 김반석 2016.05.22
1041 창3:16-19의 '여자의 잉태하는 고통과 아담의 종신토록 수고' 연구 김반석 2016.05.21
1040 ‘구원’에 관한 성구모음 김반석 2016.05.19
1039 마19:16-21의 ‘생명과 영생’ 연구 김반석 2016.05.19
1038 살후2:13-14의 ‘우리가 항상 너희를 위하여 마땅히 하나님께 감사할 것은’ 연구 김반석 2016.05.18
1037 눅1:41-44의 ‘아이가 복중에서 뛰노는지라’ 연구 - 성경문답으로 이동 김반석 2016.05.14
1036 약2:14의 ‘믿음이 있노라 하고 행함이 없으면’ 연구 김반석 2016.05.14
1035 딛3:5의 ‘우리를 구원하시되’ 연구 김반석 2016.05.14
1034 딤후1:9의 ‘하나님이 우리를 구원하사’ 연구 김반석 2016.05.14
1033 딤전2:15의 ‘그 해산함으로 구원을 얻으리라’ 연구 김반석 2016.05.12
1032 엡2:8-9의 ‘그 은혜를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었나니’ 연구 김반석 2016.05.12
1031 행16:30-31의 ‘주 예수를 믿으라 그리하면 너와 네 집이 구원을 얻으리라’ 연구 김반석 2016.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