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강요(1536년 초판 완역)

2016.07.09 12:42

김반석 조회 수:

기독교강요(1536년 초판 완역)

  선지자선교회

 기독교강요(초판 완역)-앞표지.jpg                                  

 

도서명: 기독교강요(1536년 초판 완역)

번   역: 포드 배틀저 서론 / 양낙홍 옮김

출판사: 크리스찬 다이제스트

발행일: 1988410일 초판 발행 / 1996910일 중판 발행

    

- 아래의 글은 이 책 뒤표지에 실린 글이다.

 

이 책은 기독교강요 초판의 완역판이다. 초판의 사상이 거의 변함없이 최종판에서도 이어진다는 점에서 이 초판은 칼빈신학의 정수요 핵심이라고 불리운다. 초판은 라틴어판으로 300여 페이지이며, 최종판은 1500여 페이지로, 초판은 최종판의 1/5이다.

 

이 초판 기독교강요가 1536년 세상에 나왔을 때 이 책은 세계를 뒤흔들었고 역사를 움직였다. 로마교회는 기독교강요를 가장 두려워했으며, 개혁교회는 이 책으로 말미암아 체계가 잡히고 당당하게 참 교회를 향한 길을 갈 수 있었다.

 

이 책으로 칼빈은 일류 신학자로 인정을 받아 제네바 교회의 청빙을 받게 되었다.

 

로마교회가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에 의존하는 만큼 개신교회는 칼빈의 기독교강요에 의존했다.

 

미국 신학자 폴 푸르만(Paul T, Fuhrmann)은 이렇게 말했다. “방대한 최종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칼빈의 모든 반대자들의 입장을 이해해야만 한다. 이것은 쉽지 않다. 그래서 그러한 논쟁 없는 초판이 현대의 독자들에겐 훨씬 더 이해하기 쉽다.”

 

또한 초판 기독교강요는 모든 신자들을 대상으로 저술한 반면, 최종판은 신학자와 반대자들을 염두에 두고 저술하여, 초판이 칼빈의 신학사상의 진수를 다 포함하면서도 누구나 다 읽어 이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최종판은 20여 년간 반대자에 대한 답변과 보충을 통해 증보되어 초판의 5배 분량이 되었을 뿐이다.

 

기독교강요 1536년 초판은 칼빈의 신학의 핵이라 할 수 있다. 그후 몇 차례 증보 출판한 이유는 내용을 고치거나 수정한 것이 아니라 당시 로마교회나 재세례파들의 신학적 오류를 반증하다보니 양이 늘어났을 뿐이다. 그러므로 초판은 최종판의 요약으로 보아 무방하다. 그래서 초판은 학계에서 역사적 가치에 있어 최종판 이상으로 많이 읽혀지고 있다. 박희석 교수(총신대학)”

 

 

- 본 자료의 전문은 홈페이지> 목회> 도서>에 게재 하였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4.06.28-5043 김반석 2024.03.04
공지 ‘최근 글’의 수와 게시판 전체의 글의 수가 일치 되지 않는 까닭 김반석 2022.10.05
공지 ‘최근 글'에 대한 안내 선지자 2014.05.08
5043 그의 열매로 그들을 알리라 new 김반석 2024.06.28
5042 영광받기로 예비하신 바 긍휼의 그릇(롬9:23-29) 김반석 2024.06.28
5041 죄와 죄가 되게 하는 것 ː 의와 의가 되게 하는 것 김반석 2024.06.28
5040 하물며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서 구하는 자에게 김반석 2024.06.27
5039 구하라, 찾으라, 문을 두드리라(마7:7-8) - 완 김반석 2024.06.27
5038 기본구원과 건설구원은 차별이 없는 것과 차이가 있는 것 김반석 2024.06.26
5037 목회자의 안팎 김반석 2024.06.26
5036 잘난 사람 · 똑똑한 사람 김반석 2024.06.26
5035 이단의 거짓말과 참람된 말 김반석 2024.06.25
5034 구원론에서 발명과 발전 김반석 2024.06.25
5033 기본구원과 건설구원은 중생의 씻음과 성령의 새롭게 하심 김반석 2024.06.25
5032 기본구원과 건설구원의 교리용어 성경근거 김반석 2024.06.24
5031 똑똑한 자, 좋은 자, 나쁜 자 김반석 2024.06.24
5030 믿음의 개념과 믿음 (교회론) 김반석 2024.06.23
5029 주의 종은 무익한 종 김반석 2024.06.23
5028 부피와 가치는 다른 것이다 김반석 2024.06.23
5027 죄와 의에 대한 개념 (구원론) 김반석 2024.06.22
5026 피의 용도와 믿음의 용도 (구원론) 김반석 2024.06.22
5025 양심에 화인 (사람론) 김반석 2024.06.21
5024 이성과 본능 (사람론) 김반석 2024.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