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회의 공회적 송사에 대한 小考

2008.12.06 15:44

김반석 조회 수: 추천:

■ 공회의 공회적 송사에 대한 小考
선지자선교회
<서론>

공회교회는 개교회주의이나 독립적 교회는 아니고 공회적 교회입니다. 그래서 공회교회는 공회적 개교회주의입니다. 공회적 개교회주의는 개교회가 각각 독립교회로 나가는 것이 아니고 개교회가 각각이나 한 몸의 지체로 나가는 그 신앙노선입니다.  

<본론>

공회는 하나님의 뜻을 찾아 의논하고, 결정하고, 집행하는 교회행정입니다.

‘의논’은 개교회가 개교회 문제를 자체적으로 처리하지 못할 때 그 문제 해결을 공회에 청원하여 공회적으로 의논합니다. 공회적인 문제도 마찬가지입니다.

‘결정’은 하나님의 뜻을 쫒아 의논한 것을 진리 전원일치로 그 가부를 통과시킵니다.  

‘집행’은 교훈하고 권면하되 강제는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치리는 합니다.(딤전5:20)

공회교회에 있어서 목사나 장로를 장립시킬 때나 조사를 등용할 때에 공회회의에서 전원일치 통과로 그 여부를 결정지웁니다.  

공회는 매 2년마다 교역자시무투표 곧 교역자신임투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시무투표 곧 신임투표를 하는 것은 개교회주의가 개교회주의로 나가는 그 근간이 되는 성도와 교회가 진리자유, 신앙자유, 양심자유를 가졌기 때문이며 또 가지기 위해서입니다.

교역자시무투표 곧 교역자신임투표는 담임 교역자에 대해서 교인들이 가지는 진리자유, 신앙자유, 양심자유를 표현한 것입니다. 투표자의 3/4 이상이면 신임 받은 것으로, 3/4 이하이면 불신임 받은 것으로 정하여 이에 따라 시무와 이동이 결정됩니다.

그런데 문제는 불신임을 받아 이동이 결정된 것을 해당 교역자가 이유를 들어 불복하거나 또 아니면 해당 교역자 편에 선 교인들이 불복하여 혼란을 일으키는 일 등입니다.

개교회에서 이런 문제가 발생될 때 그 해결을 개교회 자체적으로 잘 해결하면 좋겠으나 그렇지 못할 때 혼란이 가중됩니다. 그럴 때 그 문제 해결을 짓도록 지방공회에나 총공회에 청원을 해서 해결 받도록 해야 합니다.

개교회에 어떤 일이 있을 때 어떤 문제는 공회회의에서 공회적으로 처리를 하고, 어떤 문제는 개교회가 처리하도록 맡겨버리면 안 됩니다. 언급한대로 개교회의 목사와 조사와 장로를 등용시킬 때는 공회회의에서 전원일치로 통과를 시킵니다. 그런 원리대로 개교회가 교역자시무투표 곧 교역자신임투표를 실시함에 따라 그 이동에 따른 혼란이 있어 자체적으로 처리를 못할 때는 공회를 열어 전원일치로 그 문제를 통과시켜야 합니다.

그러므로 개교회는 지방공회나 총공회에 그 문제를 해결해 주기를 청원해야 하고, 또한 지방공회나 총공회는 청원하여 해결하도록 그 안내자가 되어 주어야 합니다.

이 시대 우리가 회복해 나가고 있는 공회 소속역사는 짧습니다. 그렇기에 공회가 왜 공회이며 공회가 하는 일이 무엇인지를 점점 알아가고 있는 중입니다. 우리 공회는 초대교회 공회를 향하여 나아가고 있는 중이므로 이론적으로나 실천적으로 부족하고 미약한 부분이 많습니다. 그러므로 이 시대 우리가 공회성을 보완하고 실행하므로 자라가야 합니다. 그리고 다음 세대에 계대해야합니다.

교회사에서 교역자에 대한 평가는 다른 것으로 기준잡지 않습니다. 얼마나 진리자유, 신앙자유, 양심자유를 했나 하는 것으로 판단 짓습니다.

<결론>

개교회가 교역자 이동 문제를 두고 송사를 청원할 때 지방공회나 총공회는 송사기관이 됩니다. 송사의 원고는 딤전5:19에 ‘장로에 대한 송사는 두 세 증인이 없으면 받지 말 것이요’ 하셨으므로, 해당교회의 두 세 증인 이상이면 되겠습니다. 송사에 따라 지방공회나 총공회는 진리 전원일치로 재판하여 그 결정을 지어주어야 합니다.

교역자시무투표 곧 교역자신임투표와 관련된 사항을 두고 공회의 역할을 소고해보았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4.06.29-3922 김반석 2024.03.30
공지 신앙 표어와 목회 표어 김반석 2024.03.30
공지 나는 독립으로/무언의 용사로/주님만모시고/어디까지든지 [1] 김반석 2022.12.14
공지 김반석의 표어적 성구 [1] 김반석 2018.12.02
공지 김반석의 묵상 선지자 2014.08.15
» 공회의 공회적 송사에 대한 小考 김반석 2008.12.06
301 교역자시무투표 곧 교역자신임투표 김반석 2008.12.05
300 나무의 나이테와 믿음의 나이테 김반석 2008.11.17
299 안다고 하나 모르는 것이 대부분 김반석 2008.11.10
298 의미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김반석 2008.09.19
297 목사인데 두 뿔이 있고 용처럼 말 하더라 김반석 2008.09.18
296 '도성인신' 성경을 근거해서 말해야 합니다. 김반석 2008.09.11
295 오늘의 기도 자세와 기도와 찬송 김반석 2008.08.27
294 일반론과 원론의 그 원리적용과 그리고 자기중심 자기위주 김반석 2008.08.17
293 건업리 기도원에서 김반석 2008.08.13
292 주님 날 구원하여 주셨으니 김반석 2008.08.13
291 하나님과 진리로 김반석 2008.08.13
290 묘합니다, 묘해! 김반석 2008.08.13
289 신앙과 예의 김반석 2008.08.13
288 내장을 드러내 보일 때 김반석 2008.08.09
287 처지는 매 한가지 김반석 2008.08.09
286 8월 찜통 여름 김반석 2008.08.09
285 그 교회는 순교의 제단입니다. 김반석 2008.08.09
284 119 기도 선지자 2008.07.28
283 '성경적 조직신학' 그 명칭의 의미 선지자 2008.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