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21 23:34
■ 성경해석의 이론과 실제
우리가 성경해석을 한다. 그러면 성경해석을 어떻게 하는가? 성경을 잘 모르거나 깊이 있게 알지 못할 때에는 신앙선조나 신앙선배가 성경을 해석한 주석을 참조한다. 그러다가 성경을 자세히 알게 되고 깊이 있게 깨닫게 되면 성경해석은 오직 성경을 근거해서 한다.
성경을 근거한 해석이라는 것은 곧 해석할 단어나 단락이나 성구에 대하여 해석해주는 성구를 성경에서 찾아 제시하는 것이다. 그런 것은 성경은 성경이 해석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해석해주는 성구만 제시하면 이해가 안 가는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최소한의 설명을 첨부하는 것이다.
그러면 이 글의 제목 「성경해석의 이론과 실제」는 무엇을 말하려는 것인가?
성경해석에서 우리가 해석할 단어나 단락이나 성구에 대하여 해석해주는 성구를 성경에서 찾아 제시한다. 이것만 하면 이론적 성경해석이다. 그래서 성경해석은 이론보다는 실제가 되어야 한다. 즉 성경해석에서 이론적으로 정리한 것을 우리에게 실제 적용을 시켜야 된다는 것이다.
하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딛3:5에는 하나님이 우리를 구원하시는 구원 즉 ‘중생의 씻음’과 ‘성령의 새롭게 하심’을 말씀하셨다. 그러면 ‘중생의 씻음’과 ‘성령의 새롭게 하심’에 대하여 해석해주는 성구를 성경에서 찾아 제시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최소한의 설명을 첨부한다. 이것은 이론적 해석이다. 이 이론적 해석한 것을 우리에게 실제적으로 적용해야 되는 것이다. 즉 하나님이 우리를 구원하시는 구원 즉 ‘중생의 씻음’과 ‘성령의 새롭게 하심’이 믿는 우리의 자기 안에서 실제로 이루어진 것이 무엇인지 그 증거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롷게 해야 성경해석에서 이론에 머물지 아니하고 실제에 나아가야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 글의 제목을 「성경해석의 이론과 실제」라 한 것이다.
- 2022. 07. 21∥김반석목사
- 선지자문서선교회∥http://www.seonjija.ne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
공지 | 2025.03.30-216 | 김반석 | 2025.02.23 |
공지 | '성경연구방법' 글에서 선별하면 조직신학 ‘서론’에 해당하는 내용이 된다 | 김반석 | 2025.02.23 |
공지 | 성경의 기본교리 곧 구원의 기본교리 | 김반석 | 2022.05.07 |
137 | 현대교회의 신학과 개혁교회의 신학 | 김반석 | 2022.08.14 |
136 | 지금의 신학은 속화적 신학 | 김반석 | 2022.08.13 |
» | 성경해석의 이론과 실제 | 김반석 | 2022.07.21 |
134 | 성경해석에서 성경과 성령 | 김반석 | 2022.07.02 |
133 | 성경주석과 성경해석 | 김반석 | 2022.07.01 |
132 | 백영희목회설교록은 성경연구를 가르치는 성경연구공부교재 | 김반석 | 2022.06.27 |
131 | 성경번역과 성경해석 | 김반석 | 2022.06.22 |
130 | 성경연구에서 두 부류 | 김반석 | 2022.06.21 |
129 | 신학공부와 성경공부 | 김반석 | 2022.06.09 |
128 | 성경을 자세히 아는 만큼 성경해석이 정확히 보인다 | 김반석 | 2022.06.05 |
127 | 성경연구의 초급, 중급, 고급 | 김반석 | 2022.06.04 |
126 | 성경해석에서 설교와 교리 | 김반석 | 2022.05.23 |
125 | 신학공부와 성경공부 | 김반석 | 2022.05.18 |
124 | 성경해석과 성경해설 | 김반석 | 2022.05.15 |
123 | 성경해석에 대한 살필 부분 2가지 | 김반석 | 2022.04.03 |
122 | 성경해석의 최선과 차선 | 김반석 | 2022.03.25 |
121 | 구약성경 해석방법 | 김반석 | 2022.03.07 |
120 |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의 핵심 | 김반석 | 2022.02.24 |
119 | 성경연구의 1차원, 2차원, 3차원 | 김반석 | 2022.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