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신칭의 즉 이신과 칭의

  선지자선교회

2016. 12. 9. 선지자문서선교회 김반석

 

 

-목 차-

 

(서문)

 

1. ‘이신칭의교리용어의 뜻

2. 이신칭의 즉 칭의와 이신

 

(본문)

 

1장 칭의(稱義)

 

1. 율법의 행위

2.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속

3. 차별이 없느니라

 

2장 이신(以信)

 

1. 예수 믿는 자를

2. 의롭다 하려 하심이니라

 

(결론)

 

1. 이신칭의는 이신과 칭의의 합성어(合成語)

2. 칭의(稱義)와 이신(以信)

 

(참고)

 

믿음과 행함

 

1. 믿음이 그의 행함과 함께 일하고

2. 행함으로 믿음이 온전케 되었느니라

 

율법의 행위

 

1. 율법의 계명

2. 율법으로는 죄를 깨달음

3. 율법은 몽학선생

 

부활의 영광과 상급

 

1. 부활의 영광

2. 상급

 

(첨부)

 

3:24 주석

 

1.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속으로 말미암아

2. 하나님의 은혜로 값없이

3.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

 

(서론)

 

이신칭의교리가 어렵다. 그러나 성경에서 이신칭의에 관한 성구를 찾아보면 그 도리가 무엇인지 밝히 알려 준다.

 

1. ‘이신칭의교리용어의 뜻

 

이신칭의교리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이신(以信) - 믿음으로 말미암아

칭의(稱義) - 하나님께 의롭다 칭함을 받다

 

즉 이신칭의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의롭다 칭함을 받다이다.

 

그러면 믿는 우리가 신앙생활을 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우리가 신앙생활을 하는 것은 성화를 이루기 위함이라 말한다. 그러면 또 칭의는 무엇이며 성화는 무엇인가? 질문을 하게 된다.

 

이번 20161256일에 미래교회포럼 주최로 연동교회에서 이신칭의 이 시대의 면죄부인가?라는 주제로 강연이 있었다. 강사들의 주 내용은 이신칭의와 관련하여 칭의와 성화에 관한 것이었다.

 

이번 포럼에 참석하여 강의를 듣는 중 내내 아쉬운 마음이 있었다. 그것은 강의하는 교수들이 주제에 대한 해답을 전적 성경에 기반을 두었더라면 진리적 도리를 분명하게 밝힐 수 있었을 것인데 신학에 기반을 두어서 분명한 해답을 내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에 부족한 종이 연구과제로 삼아 성경해석의 성경적 원리에 맞추어 이신칭의 교리에 대한 해답을 전적 성경에 기반을 두고 찾아보려는 것이다. 즉 성경은 성경이 해석한다는 성경해석의 기본적 자세이다. 이렇게 정리한 자료는 선교지 등의 목회자성경공부 시간에 강의 자료가 되기 때문에 일석이조가 된다.

 

이번에 이신칭의교리를 연구하면서 하나 새롭게 깨닫는 것이 있었다. 그것은 이신칭의 교리용어가 한 교리에 대한 용어가 아니라 이신칭의라는 두 교리에 대한 용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들이 그 해설이기도 하다.

 

2. 이신칭의 즉 칭의와 이신

 

다음은 이신칭의에 대한 근거 성구 중에 하나이다.

 

(3:24)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속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로 값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

 

이 성구 롬3:24에 대하여 성경을 근거한 주석을 이 글 맨 끝에 별첨할 것이다. 그에 앞서 이신칭의교리의 근거가 되는 이 성구는 또한 칭의와 이신(성화)이 내포된 성구도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성구에서 칭의부분과 이신(성화)’ 부분을 분리해서 각각에 대한 관련 성구를 성경에서 찾아보면 칭의가 무엇이며 이신(성화)이 무엇인지 그 해답을 성경 자체가 밝혀 줄 것이다.

 

그리고 이신(以信)이 무엇이며 또 이신(以信)이 왜 성화가 되는지에 대해서는 본론에서 성경을 근거하여 해설할 것이다.

 

그러면 롬3:24이신칭의에 대한 말씀인데 어떻게 또 칭의와 이신(성화)’의 교리가 내포된 말씀인지 분석해보자.

 

-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속으로 말미암아는 하나님의 의에 대해 말씀하는 부분이다. 즉 칭의(稱義)이다.

 

하나님이 자기의 독생자를 세상에 보내어 우리를 살리신(요일4:9) 즉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우리를 죄에서 구속하신(1:7) 하나님의 의(3:20-28)에 관한 말씀이다.

 

- 하나님의 은혜로 값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는 우리의 의에 대해 말씀하는 부분이다. 즉 이신(以信)으로써 성화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구속 받은 우리가(1:7) 그 안에서 진리의 말씀 곧 구원의 복음을 듣고 그 안에서 또한 믿어 약속의 성령으로 인치심을 받았다(1:13). 즉 믿음으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의롭다 하심을 얻은(2:16) 우리의 의(3:20-28)에 관한 말씀이다. 즉 우리의 성화에 대한 말씀이다.

 

그러므로 이신칭의교리용어에 대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하나님 앞에 의롭다 칭함을 받다는 뜻이라고 말하게 되면 이신칭의 교리가 내포하는 칭의와 이신(성화)을 온전히 표현하지 못한 것이 된다.

 

그러면 이신칭의교리의 대표적 성구 롬3:24에 대하여 이신과 칭의두 교리로 분리하여 각각 관련 성구를 찾아 전개하여 성경이 말씀하는 해답을 찾아보자.

 

참고로, 이신칭의의 도리적 순서는 칭의가 먼저이고 이신은 그 다음이다. 그러므로 논설 또한 그에 맞게 칭의를 먼저하고 이신은 뒤에 한다.

 

 

- 본 자료에 대한 전문은 홈페이지> 연구> 교리문답>에 게재하였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4.06.30-5047 김반석 2024.03.04
공지 ‘최근 글’의 수와 게시판 전체의 글의 수가 일치 되지 않는 까닭 김반석 2022.10.05
공지 ‘최근 글'에 대한 안내 선지자 2014.05.08
248 구약성경에서 ‘복음’ 김반석 2017.01.10
247 「쉐마교육연구원」을 연구 검토 하다 김반석 2017.01.08
246 사람의 인성구조 二分, 三分, 四分 김반석 2017.01.05
245 요4:24의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지니라’ 연구 김반석 2017.01.03
244 계1:19 주석 : 네 본 것과 이제 있는 일과 장차 될 일 김반석 2016.12.31
243 창2:18-24의 ‘아담에게서 취하신 그 갈빗대로 여자를 만드시고’ 연구 김반석 2016.12.30
242 벧전3:7의 ‘저는 더 연약한 그릇이요’ 연구 김반석 2016.12.30
241 요한계시록 개요 연구 김반석 2016.12.29
240 마5:13-16의 ‘너희는 세상의 소금, 너희는 세상의 빛’ 연구 김반석 2016.12.28
239 계22:17의 ‘성령과 신부가 말씀하시기를 오라 하시는도다’ 연구 김반석 2016.12.26
238 계21:9-10의 ‘내가 신부 곧 어린 양의 아내를 네게 보이리라’ 연구 김반석 2016.12.26
237 계1:1 주석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라 김반석 2016.12.23
236 선악과가 무엇인가? 김반석 2016.12.21
235 성경연구에서 어제와 오늘과 내일의 차이 김반석 2016.12.20
234 이신칭의(以信稱義)에 관하여-2차 해설본 file 김반석 2016.12.16
233 성령을 선물로 받음에 대하여 김반석 2016.12.14
232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은 것이 무엇인가? 김반석 2016.12.14
231 약2:22의 ‘행함으로 믿음이 온전케 되었느니라’ 연구 김반석 2016.12.11
» 이신칭의 즉 이신과 칭의-12.11 보충 선지자 2016.12.10
229 행13:39의 ‘이 사람을 힘입어 믿는 자마다’ 연구 선지자 2016.12.09